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활운동 이후 운동 복귀 전략 (부상 방지, 단계별 접근, 루틴 예시)

by jinworkout 2025. 8. 2.

으샤으샤

재활운동을 통해 통증이 사라졌다고 해서 바로 운동을 재개하는 것은 위험한 선택이 될 수 있다. 관절과 근육은 손상 이전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는 데 시간이 필요하며, 이를 무시하고 무리한 운동을 하면 다시 통증이 발생하거나 부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글에서는 재활 이후 어떻게 운동에 복귀해야 하는지,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부위별 복귀 루틴은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다룬다.

 

재활 후 바로 운동해도 괜찮을까?

재활운동은 통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회복하는 데 목적이 있지만, 본격적인 운동을 하기에는 아직 준비가 안 된 경우가 많다. 관절을 지지하는 근육, 인대, 힘줄은 재활 도중에도 약해진 상태이고, 갑자기 강한 부하를 받으면 손상이 반복될 수 있다.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격한 전신 운동을 하던 사람이라면 기존 운동량의 절반도 과할 수 있다.

재활 이후 운동 복귀 여부를 판단할 때는 다음 세 가지 기준이 도움이 된다.

  1. 일상 생활 시 통증이 완전히 없다: 앉기, 서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 기본 동작에서 통증이 없을 것
  2. 관절의 가동 범위가 정상에 가깝다: 이전 수준의 유연성이 회복되었는지 확인
  3. 체중을 실어도 통증이 없다: 손목, 무릎, 발목 등 부하 테스트에서 이상 없음

이 기준을 충족한 후에도 운동 복귀는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운동 복귀 시 반드시 지켜야 할 5가지

  • 1. 강도는 기존의 50~60%로 시작: 예전 루틴의 절반 수준으로 무게, 횟수, 세트를 조절해야 한다.
  • 2. 고정식 머신부터 활용: 초기에는 관절을 고정해주는 머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후 프리웨이트로 넘어간다.
  • 3. 워밍업과 쿨다운은 필수: 재활 부위 중심의 동적 스트레칭과 안정화 운동을 포함해야 한다.
  • 4. 세트 간 충분한 휴식 확보: 회복력이 떨어진 시기이므로, 휴식 시간을 길게 가져야 다음 세트에도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 5. 운동 후 피드백 기록: 운동 후 통증이 없었는지, 다음 날 불편함은 없는지를 메모해 다음 루틴에 반영한다.

운동복귀 초기에는 루틴의 빈도 또한 주 2~3회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충분한 회복 없이 무리한 빈도로 훈련하면 재손상의 위험이 커진다.

 

부위별 재활 후 운동 루틴 예시

어깨 재활 후 루틴

  • 1주차: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케이블 외회전 (가벼운 무게, 고반복)
  • 2주차: 덤벨 숄더프레스 (앉은 자세, 낮은 각도), 밴트오버 레터럴
  • 3주차: 머신 숄더프레스, 랫풀다운 보조

무릎 재활 후 루틴

  • 1주차: 앉은 레그 익스텐션, 스텝업 (계단 낮게)
  • 2주차: 레그프레스 머신 (가볍게), 힙 어브덕션
  • 3주차: 바디웨이트 스쿼트, 점프 스쿼트 (통증 없을 경우)

허리 재활 후 루틴

  • 1주차: 버드독, 고양이-소 자세, 맥켄지 스트레칭
  • 2주차: 힙브릿지, 플랭크 10~20초, 데드버그
  • 3주차: TRX 로우, 백 익스텐션 머신

손목 재활 후 루틴

  • 1주차: 손목 회전, 고무줄 벌리기
  • 2주차: 작은 아령을 이용한 손목 굴곡/신전 운동
  • 3주차: 주먹 플랭크, 케틀벨 홀드 (가벼운 무게)

모든 부위에서 공통적으로 회복 우선 → 가동성 확보 → 안정화 → 기능 향상 순으로 단계적 복귀를 유도해야 한다.

 

회복 단계에서 꼭 필요한 생활 습관

운동 복귀에는 트레이닝 루틴 외에도 회복을 돕는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다음은 추천하는 루틴이다.

  • 충분한 수면: 회복기에 최소 7시간 이상 수면 필요
  • 수분 보충: 관절 윤활과 근육 회복을 돕기 위해 하루 2L 이상 수분 섭취
  • 영양 섭취: 단백질 중심 식단, 오메가3, 항산화 식품 섭취
  • 통증 피드백 노트 작성: 어떤 동작이 힘들었는지, 다음 날 통증 여부 기록

 

결론

재활 후 운동 복귀는 성급하게 접근하면 위험하고, 천천히 접근하면 성공 확률이 높다. 자신이 통증 없이 움직일 수 있다고 느껴도, 실제로는 근육과 인대가 아직 약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점진적 루틴이 필요하다.

부상 없이 오랫동안 운동을 지속하고 싶다면, 통증 없이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을 고려한 운동이 필요하다. 다음 글에서는 운동 중 다시 통증이 생겼을 때 대처 전략과 루틴 조절법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